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

디지털치료제(Digital therapeutics, DTx)의 현재 100세 시대를 맞이하여 최근에는 태아보험도 100세 만기로 가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고령화 시대로 급속히 진입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우리나라의 출산률은 통계청에 따르면 2021년에 가임여성 1명당 0.808명이었지만, 2022년도에는 0.7명대로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출산률은 줄어들고 고령화는 급속히 진행되는 미래에서 가장 우려되는 것 중 하나는 건강보험 재정의 악화입니다. 고령화로 만성질환은 증가하는 반면 건강보험예산은 크게 증가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보험료 인상이 손쉬운 방법이지만 경제력을 잃어가는 고령층에서 감당하기 어렵고, 많은 부담에 대한 저항도 만만치 않기 때문입니다. 더우기 아래와 같이 우리나라의 GDP 대비 경상의료비의 비율은 매년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고령화 등.. 2022. 12. 29.
사라지는 꿀벌들 - 벌집군집붕괴현상(CCD : Colony Collapse Disorder), 인류 멸종의 신호탄? 2022년초에 우리나라에서 약 78억 마리의 꿀벌이 사라지는 사건이 발생해 양봉농가에 큰 손해가 발생하였습니다. 전국의 227만여개의 벌통 중 39만여개에서 꿀벌이 사라져버렸습니다. 텅빈 벌통, 잠자던 벌들이 사라졌다…꿀벌 '집단실종' 미스터리 이러한 사건은 우리나라에서만 일어나는 일은 아닙니다. 2006년 미국에서 처음 보고된 후 유럽, 아프리카, 중국 등 전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상입니다. 이렇게 꿀벌이 자신의 벌집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벌집군집붕괴현상(CCD : Colony Collapse Disorder)이라고 합니다. 일을 하러나간 꿀벌이 집으로 돌아오지 못해 벌집에는 여왕벌과 애벌레만 남아 버티다가 죽게되는 현상입니다. 꿀벌이 왜 돌아오지 않는지, 죽었는지, 살았는지는 아직 미궁입니다. 단지.. 2022. 12. 23.
생물다양성(Biodiversity) 감소, 인류의 위기 어릴적 시골의 밤은 짝을 찾는 개구리의 노래소리로 가득찼었죠. 그 개구리들은 지금 어디로들 갔을까요? 지구역사에 비하면 아주 짧은 지난 수십년에 걸쳐 수많은 생물들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과연 이대로 괜찮을까요? 세계경제포럼(WEF)의 ‘The Global Risks Report 2022’에서는 세계 1000여명의 사회 정재계 리더들을 대상으로 한 ‘글로벌리스크 인식조사 (GPRS)’에서 향후 10년, 지구적으로 가장 심각한 위험으로 생물다양성 소실이 3위로 언급되었습니다. 그런데 과연 어떠한 점이 그토록 위기인 것일까요? 생물다양성의 위기에 대해 서술해보고자 합니다 먼저 생물다양성이란 무엇일까요? 생물다양성협약 제2조에 따르면 생물다양성(biodiversity)이란 "육상·해상 및 그 밖의 수중생태계와 .. 2022. 12. 23.